건강한 삶과 질병의 종류

여자의 적 유방암의 모든것!

프리띠윤나 2025. 7. 8. 08:06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자들이 흔히 걸릴 수 있는 유방에 대해 얘기해 보려 합니다.
유방은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존재하지만, 특히 여성의 경우 생리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신체 부위입니다.
여성의 유방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프로락틴 등의 호르몬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출산 후 모유를 생성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유방은 여성성, 모성, 성적 매력의 상징이며 자아 이미지와 자존감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성에게 있어서는 아주 중요한 유방이지만, 그만큼 여성이 가장 흔하게 걸리는 암이 바로 유방암입니다.
유방암의 대해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이란?
유방 조직에서 비정상적인 세포가 통제되지 않고 증식하면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입니다.
주로 유관(젖줄)이나 유엽(젖샘)에서 시작되며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입니다.
드물게 남성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방암의 원인
-에스트로겐 노출 증가(장시간 고농도의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면 유방세포 분열 증가가 많아지며 돌연변이 위험이 높아집니다.)
-유전적 요인(BRCA1, BRCA2 돌연변이로 인한 유방암, 난소암 발생률이 증가하며, 직계 가족이 유방암에 걸렸을 경우 위험이 2~3배 증가 가합니다)
-생활습관 및 환경 요인(과도한 음주, 폐경 후 비만, 운동부족, 고지방 고칼로리 식단)
-방사선 노출
 
유방암의 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을 수 있으나 유방에 딱딱한 멍울(통증 없는 경우가 많음)이 잡히는 게 가장 대표적이며,
유두에서 분비물(특히 혈성)이 나오거나, 유방 피부의 함몰, 꺼짐, 주름지거나 붉어짐, 유두 위치 변화나 유두 함몰, 겨드랑이 림프절의 부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유방암의 종류
  1. 비침습성 유방암(제자리암)


 - 관상 상피내암: 유관(젖줄) 내부에서만 발생한 암.
전이되지 않았을 경우 치료 효과가 매우 높으나 침습성 유방암으로 발전할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생존율 98~100%
 
 -소엽 상피내암: 유방의 소엽(젖샘) 부위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세포의 증식으로 이름에 "암"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암이 아닌 '전암성 병변' 또는 '위험인자'로 분류됩니다.
생존율 거의 100%
 

 
  2. 침습성 유방암


 -침습성 관상암: 유방암 중 가장 흔하며(전체의 약 70~80% 차지) 유관에서 시작해 주변 조직으로 침범합니다.
림프절 또는 장기로 전이가 가능합니다.
생존율 1기-매우 높음, 완치에 가까움
           2기-호르몬 치료, 항암/방사선 치료 병행 필요
           3기-적극적인 다중 치료 필요(수술, 항암, 방사선 등)
           4기-완치보다는 생명 연장과 삶의 질 유지가 치료 목표이지만, 표적치료+면역치료로 생존 기간 연장 가능
 
 -침습성 소엽암: 유엽(젖샘)에서 시작해 침범하며, 양쪽 유방에 동시에 발생 가능성이 있고 IDC보다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조직이 퍼지듯 자람)
생존율 1기-98%
           2기-90%
           3기-80%
           4기-30%

 

 


 
   3. 염증성 유방암: 전체 유방암 중 약 1~5%를 차지하며 피부가 붉어 오르며 따듯하고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겉보기에 염증처럼 보이지만 진행이 매우 빠르고 공격적인 암입니다.
유방의 모공이 오렌지 껍질처럼 변하며, 암을 발견했을 때 이미 진행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3기 이상)
생존율 3기-50~55%
           4기-20~25%

 

 
   4. 파젯병: 유방암의 약 1~4%를 차지하며 암이 유두나 유륜에 습진처럼 붉고 벗겨지며, 대게 유관 내 암 또는 침습성 유방암과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단독 파젯병인지, 침습성 암이 동반됐는지에 따라 생존율이 달라집니다.
 
   5. 삼중음성 유방암: 유방암의 약 10~15%를 차지하며 치료 방법이 제한적이고 진행 속도가 빠르며, 비교적 젊은 여성, BRCA 돌연변이 유저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암입니다.
 생존율 -일반 유방암보다 재발이 높고 생존율이 낮습니다.
 
   6.HER2양성 유방암: 유방암의 약 15~20%를 차지하고 HER2 단백질이 과다 발현되어 나타나며 성장 속도는 빠르지만  표적 치료제의 효과가 높습니다.
생존율 -과거에는 예후가 나쁘다고 알려졌지만, 표적치료의 발전으로 생존율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유방암의 병기
 0기-암세포가 유관이나 소엽 안에만 있는 경우(비침습성)
 1기-종양 크기가 2cm 이하이거나 림프절 전이 없음 또는 미세전이(초기 침습성 유방암)
 2기-종양 크기가 2~5cm 또는 작은 종양이지만 림프절 1~3개 전이 된 경우(국소 진행 유방암) 
 3기-종양 크기가 5cm 이상이거나 여러 개의 림프절(4개 이상) 전이된 경우(국소 진행성 유방암(진행된 병기))
 4기-암이 뼈, 간, 폐, 뇌 등 다른 장기로 퍼진 경우

 

반응형
LIST